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기타_학교_프로젝트_저장소

교내 미니 프로젝트

교내의 설계과목 내에서 진행한 미니프로젝트에 대한 설명.

Photo Browser

수행시기 2012년 하반기
관련 과목 컴퓨터그래픽스설계(담당교수 박인규)
주 언어 C++ 1) + OpenGL
소스코드 주소

수강생이 너무 많은 고로 오프라인 발표를 진행하지 않은 과목. 발표는 유튜브를 통해 진행했다. 발표 주소는 여기

교내 프로젝트 중 가장 의욕적으로 진행한 프로젝트였는데, 사실 이것은 동시에 진행하고 있었던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과목을 포기함에 따라 전력을 투자할 수 있었기 때문.

관심이 많았던 OSX의 기능중 하나인 타임머신의 인터페이스를 참고해서 개발했다. 슬라이드 쇼 기능을 부가적으로 넣은 것이 주효하지 않았을까.

좋은 평가를 받으며 A+먹었다.

주요이슈 : OS X 타임머신, OpenGL, FreeType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Win32, 사용자 인터페이스.

AR Games

2)

수행시기 2013년 상반기
관련 과목 게임소프트웨어설계(담당교수 박인규)
주 언어 Java3), C++ 4) + Vuforia by Qualcomm

중간 발표와 최종발표의 프로젝트가 달랐는데, 중간발표때에는 PC 환경에서의 프로젝트로 AR에 대한 이해를 도모했고, 기말발표에서는 이를 활용해 본격적으로 게임을 제작하는 프로젝트였다. AR의 핵심은 영상처리에 기반한 Marker패턴인식에 있었고 실제로 게임소프트웨어설계 라기 보다는 패턴인식과 AR에 가까웠던 프로젝트 과목. 허나 역시 재밌었다.

중간발표에서는 자동차 판매 카탈로그를 제작했는데, 실제 자동차 팜플렛을 활용해서 특정한 자동차5)의 스펙 정보를 설명하는 프로그램이었다. 오히려 중간발표 프로젝트가 최종발표 프로젝트보다 평가가 좋았는데, 교수님께서 참신성하다고 평가 해주셨기 때문인듯.

최종발표에서는 터치방식의 슈팅게임인 Food Savior라는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특정한 과자의 그림을 마커로 인식하고 과자에게 다가오는 장애물을 터치 식으로 제거하고 제한시간 내에 점수를 획득하는 게임이었다.

AR을 지원하는 Library6)에 비해 안드로이드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못해서 높은 퀄리티의 작품을 뽑아내기가 어려웠다. 교수님의 평가도 이번엔 그리 높지 못했는데, 음식에게 다가오는 장애물을 '터치'하는 인터페이스는 AR과 어울리지 않았다는 평. 차라리 지정한 방향으로 총알을 발사하는 슈팅형태로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제안을 해주셨고, 수업 말미에나 교수님 말씀의 의미를 깨닫고 말았다.

북미 게임계를 강타했던 아타리 쇼크 가 무엇인지 작게나마 체감하게 만든 과목. 그래도 역시 A+을 먹었다.

주요이슈 : 안드로이드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증강현실, 마커인식, OpenGL, JNI, C++, 사용자 인터페이스, 아타리 쇼크.

요양원관리 프로그램

수행시기 2013년 상반기
관련 과목 데이터베이스 설계(담당교수 김유성)
주 언어 ASP + HTML, MSSQL Express
09학번의 동갑내기 조영수와 함께했다.

수업중 항상 피드백을 요구하시는 적극적인 수업이 인상적인 과목. 다만 네?! 하시는 교수님의 억양이 수업의 맥을 끊는 효과도 있었다(…)

요양원을 실제 운영하는 조영수의 지인 덕분에 수월하게 데이터 모델링 할 수 있었다. 실제로 최종평가에서 교수님은 데이터 모델링에 대해 크게 지적하지 않았다. 긍정인지 무관심인지는 알수 없겠으나. 다만 웹페이지에서 데이터의 CRUD를 수행할 때 예외처리를 제대로 해내지 않은점이 아쉬운 부분. 실제로 평가시에는 얼마나 많은 테이블에 접근 가능한가 보다는 얼마나 넓은 폭의 SQL문을 사용했는가를 중점적으로 평가했고, 구현과정에서 이러한 평가항목과는 약간 벗어난 방향으로 나아가다보니 이런 아쉬움이 발생했다.

Windows Azure를 처음으로 사용해본 프로젝트였다. 학생에게 한달간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했기에 가능한 일. 이것도 역시 A+을 먹었다.

주요이슈 : ERD 디자인, ERWin을 사용한 Forward Engineering, Windows Azure, ASP쌩 코딩, MSSQL Express.

1)
사실상 C
2)
Augmented Reality
3)
안드로이드 UI 구현
4)
JNI 환경 활용
5)
프로젝트에서는 제네시스를 활용했다. 모델링이 제네시스 쿠페였던건 함정
6)
Vuforia 라이브러리였고 실제 수업중에 Qualcomm 관계자를 초빙해서 강의까지 했었다!
기타_학교_프로젝트_저장소.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8/19 22:13 (바깥 편집)